라이프(life)/생활

만나이 초간단 알기

망고Run 2019. 2. 27. 06:49
반응형

최근에 우리나라 나이계산법을 가지고 법을 개정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법으로 나이 계산법을 바꾸어야 한다는 말인데요.

한편에서는 미국식으로 해야한다(즉, 태어나서 0살부터), 아니다 현재 우리나라처럼 해야 한다 옥신각신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미국처럼 나이를 계산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는 만나이를 따지니 곤란할때가 많습니다. 우선, 친구맺기입니다. 빠른 89네, 빠른 78이네 하면서 나이를 따져갑니다. 그러면서 친구를 먹을지 말지를 결정하게 되죠. 이거 생각해보면 상당히 웃긴 상황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두번째는 관공서에서 나이를 적을 때입니다. 작성해야하는 서류를 보면 나이를 적는 란에 괄호를 열고 만이라고 씌여있는 경우가 있죠? 그러면 잠깐 생각하게 됩니다. 만으로 내가 지금 몇살이지? 그러면서 자신의 생일을 떠올리고 오늘 날짜도 떠올리고 년도도 떠올려 겨우겨우 만 몇세라고 적지만 이것 또한 틀린 경우가 있습니다.

 

자, 그럼 만 나이계산을 어떻게 하면 쉽게 할 수 있을까요? 요즘은 앱의 시대 프로그램의 시대 아니겠습니까? 내가 알고 싶은 정보를 포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에이 만 나이까지 계산할 수 있는게 있을까? 하고 넘겨버리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절대 아닙니다. 만나이 초간단 알기 방법이 있습니다.

만나이 초간단 알기 방법이 무엇인지 정말 초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차분히 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만나이 계산기'라고 검색을 하십시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달력사진이 나옵니다.

세번 째 탭에 '날짜계산'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기준일을 날짜계산하는 날짜로 하십니다. (오른쪽에 오늘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자동으로 되어 있으니 건드리지 않으셔도 되요.) 그런다음 맨 아래쪽에 '만나이'보이시나요? 거기에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만약 '1990년 7월 12일 생'이라면 '19900712' 이렇게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계산'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만나이가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아래에 예시를 보시죠. 

어떤가요? 엄청 간단하죠? 제가 보여드린 계산기는 다음포털을 예로 보여드렸습니다. 다른 포털에도 있으니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궁금증이 생깁니다. 만나이 초간단 알기는 이렇게하면 되는거 알겠는데, 그럼 계산기가 없을 떄는 어떻게 하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또 만나이 초간단 알기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을 보면 현재의 년도에서 태어난 해의 년도를 뺀 후에 더하기 1을 하면 됩니다. 즉 (현재년도-태어난 년도+1=나이) 예를 들어 1990년생이면 2019-1990+1=30살입니다. 그런데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기준일을 2019.02.27로 잡고 태어난 년도를 1990.09.04로 잡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현재년도-태어난 년도)를 해 보겠습니다. (2019-1990=29) 그러면 29살이 됩니다. 30살이 아니죠? 그런데 여기서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았습니다. 2019년 9월 4일이 되어야 생일입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한살을 더 빼게 됩니다. 그러면 29살에서 -1을 하면 28살이 됩니다. 위 만나이 계산기와 결과와 똑같죠?

그러면 결국 만나이 계산법은 이렇게 됩니다. '현재년도-출생년도=만나이' , 만약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현재년도-출생년도-1=만나이'

 

 

반응형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