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집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또 전기요금이 제대로 나온건지?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보겠다. 여름이 되면 에어컨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럴때마다 걱정이 누진제이다.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예민할 수 밖에 없다. 오늘 뉴스 발표를 보면 정부가 누진제도에 대해 새롭게 개편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3가지 방법을 가지고 머리를 싸매고 있는 것 같다. 어찌됐건 요금은 우리가 내는 것이니 나의 요금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의외로 쉽고 간편한데 사람들은 신경을 안쓰고 있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간다. 자동차 연료비는 리터당 연료값이 표시되어 있고 내가 넣은 연료량에 따라 가격이 딱 나오기 때문에 쉽다. 하지만 전기는 우리집 계량기를 열어도 봐야되고 관리비에 복잡하게 표기된 항목들과 숫자들 때문에 그냥 그렇구나 하고 지나쳐 버린다. 이제부터 설명을 잘 보시기 바란다.
지금부터 말하는 것은 정확한 요금은 아니다 변수가 있으니 하지만 대략적인 요금 산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 두자.

위 그림에서 보는 정보는 네이버에서 얻을 수 있다. 검색창에 전기요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된다. 용도를 보면 주택용 저압이냐 고압이냐를 선택해야 한다. 이걸 모르겠다 싶으면 아파트 관리실에 전화해 보자. 그런 후 대가족 요금유무를 선택하고 우리집 전기 사용량을 입력한다. 우리집 전기 사용량은 계량기를 열어보면 잘 나와있으니 살펴보자. 이렇게 해서 입력완료하면 대략적인 전기요금이 자동 산출된다.
여기시 좀더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한전사이버 지점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되겠다.

위 그림에서 보다시피 전기요금계산기 탭이 왼쪽에 있다. 클릭 후 전기요금 계산기 바로가기를 클릭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전력 사용량을 계산하는 법이다. 전월 고지서에 보면 당월 지침과 우리집 계량기 숫자가 있다. 당월지침에서 우리집 계량기 숫자를 빼면 된다. 만약 이저저도 귀찮고 복잡하다 싶으면 지역번호+123에 전화하면 정산방법을 알려주니 활용해 보자.
'라이프(life)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셀프 등기 쉬게 이해하기-서류 입력 (0) | 2020.09.11 |
---|---|
갤럭시 노트20 출시로 갤럭시 노트10 가격이 10만원대 (0) | 2020.08.09 |
입국장 면세점 이용 방법 알아보기(약도 설명) (0) | 2019.05.31 |
카 유니버셜 홀더 핸드폰 거치대 (0) | 2019.05.25 |
야구 보고 저축(예적금)으로 돈벌고 (0) | 2019.04.02 |
댓글